지지구간과 정체구간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과거데이터로는 여기가 저점이었구나 하고 알겠지만
현재 기준으로는 이게 저점일지 잘 판단이 안된다.
내가 사야할 때와 사지 말아야 할 때
손절해야 할 때와 장기투자의 관점으로 가야 할 때가 있을까?
지지구간(저점)과 정체구간(횡보)을 어떻게 찾을까?
과거 데이터를 보면 "여기가 저점이었구나" 하고 쉽게 알 수 있지만,
현재 진행 중인 차트에서 저점(지지구간)인지 판단하는 것이 더 중요해.
지지구간
주가가 하락하다가 멈추고 반등하는 구간 (수요 증가)
정체구간(횡보구간)
주가가 일정한 범위에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방향성이 없는 구간
✅ 1. 지지구간(저점)을 찾는 법
1️⃣ 과거에 여러 번 지지받았던 가격대를 찾기
주가가 과거에 여러 번 멈췄던 가격대는 지지선이 될 가능성이 높음
예를 들어, 주가가 6,000에서 두세 번 반등했다면 → 6,000원이 강한 지지구간
2️⃣ 거래량이 많아지는 구간 확인
지지구간에서는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음
투자자들이 '이 가격이면 싸다'고 생각하고 매수세가 들어오기 때문
3️⃣ 이동평균선과 겹치는지 체크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이 지지선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큼
주가가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반등하면 지지구간으로 작용하는지 체크
💡 예제
주가가 6,100~6,000 근처에서 계속 반등한다면?
→ 6,000이 지지구간이 될 가능성이 높음
거래량이 터지면서 하락을 멈춘다면?
→ 매수세 유입 신호
✅ 2. 정체구간(횡보)을 찾는 법
1️⃣ 박스권(가격 범위) 설정하기
주가가 일정한 가격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지 확인
최근 차트에서 고점과 저점이 일정한 구간에서 반복되면 박스권 형성
2️⃣ 캔들이 길지 않고 꼬리가 많은지 확인
박스권에서는 큰 변동 없이 짧은 캔들이 많이 나옴
위아래 꼬리가 많고, 종가가 비슷한 수준에서 반복됨
3️⃣ 거래량 감소 확인
박스권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음
시장 참여자들이 다음 방향성을 기다리는 단계
💡 예제
주가가 6,100~6,000 구간에서 계속 움직이고 큰 변동이 없다면?
→ 정체구간 가능성 높음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방향성이 안 보이면?
→ 횡보 중일 가능성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할까?
✔ 지지구간이면
손절가를 정하고 매수 기회로 볼 수 있음
✔ 정체구간이면
돌파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상단에서 매도 & 하단에서 매수 전략 가능
👉 지금 차트에서 특정(예. 6,000~6,100 구간)이 지지구간인지 정체구간인지 체크해보자!
최근 저점이 6,000 근처에서 반등하는지?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방향성이 모호한지?
'W.I.L(Weekly I Learned) > 돈 공부와 돈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돈 공부 해외주식 거래 시 주문 종류와 ETF 및 배당주 투자 (2) | 2025.03.09 |
---|---|
2단계: 패턴과 추세 분석 (1) | 2025.03.01 |
주식차트읽기 - 몸통이 긴게 좋은거야? 꼬리는 짧은게 좋은건가? (0) | 2025.02.23 |
주식 차트 읽기 - 빨간색(양봉)이 좋은거고 파란색(음봉)이 나쁜거야? (0) | 2025.02.23 |
주식 차트 읽기 - 거래량이 중요한 이유(거래량의 많고 적음이 무슨 뜻이야?) (0) | 2025.02.22 |